아직은 더딘 국내 스마트 팩토리
상태바
아직은 더딘 국내 스마트 팩토리
  • 양대규 기자
  • 승인 2018.03.05 14: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의 중장기적인 전략 필요

[CCTV뉴스=양대규 기자] 한국은 독일, 미국, 일본과 함께 초창기에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준비했지만, 아직도 대기업을 제외하고는 스마트 팩토리 구축이 더딘 편이다.

독일과 미국, 일본은 뚜렷한 전략으로 스마트 팩토리 강국으로 한발 앞서나가고 있으며, 후발주자인 중국도 중장기적인 전략으로 스마트 팩토리의 다크호스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은 정부 주도의 스마트 팩토리 구축 사업이 있으나, 규모가 작고 기초 시설 투자 수준에 불과하다. 전문가들은 스마트 팩토리와 관련해 정부 주도의 중장기적인 강력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스마트 팩토리, Why?
2010년대로 넘어오면서 국내에서는 ‘제조업의 위기’라는 말이 들려오기 시작했다. 이는 국내 제조업들이 글로벌 경쟁에서 밀리고 있다는 말이다. 한국은 국내총생산(GDP)의 30% 이상이 제조업에 치중된 국가다. OECD 내에서도 1, 2위를 다툰다. 제조 강국으로 불리는 독일이나 일본, 미국보다 제조업 비중이 10%포인트 이상 높다. 제조업이 무너지면, 어느 나라보다 심각한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또한, 제조업이 무너질 가능성이 가장 큰 나라이기도 하다.

국내의 경우, 제조업의 위기는 가동률을 통해 뚜렷하게 나타난다. 2017년 국내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1.9%로 나타났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67.6%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제조업 가동률은 국내 주요 기업이 생산능력에 비해 실제로 얼마나 생산했는지를 측정한 값이다. 100개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기업이 72개밖에 생산을 못 했다는 것이다. 보통 제조업 가동률 80% 수준을 정상적인 생산 활동 기준으로 본다.

또한, 기업은 고령화로 인한 숙련공 감소, 공급 경쟁 확대 등 제조환경변화에 대비할 수 있는 최적 제조시스템이 필요해졌다. 중국의 성장과 비용의 증가는 국내 제조업들에게 위기를 불러일으켰다.

AI, IoT,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 발달로 이와 같은 고민 해결이 가능한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기업들은 관심을 보이게 된다. 선진국 등 각국 정부는 글로벌 위기 이후 지속된 저성장 극복방안으로 제조업에서 해법을 찾고자 했으며, 이에 각국 환경에 맞는 제조업 부흥정책을 마련해 직·간접적인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사람이 직접 생산에 관여한 이전까지의 공장과 다르게, 스마트 팩토리는 자동 생산 시스템을 구축한다. 축적된 데이터를 통한 관리로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보다 효율적인 생산을 가능케 한다.

전체 기사를 보시려면 로그인 필요

로그인 또는 회원가입을 해주세요. (회원만 열람가능)

로그인 회원가입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