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국가 사이버보안 R&D 추진계획
상태바
2017년 국가 사이버보안 R&D 추진계획
  • 신동훈 기자
  • 승인 2016.12.30 13: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천기술) 학습기반 자가 방어 기술, 지능형 탐지·예측 기술, 차세대 암호기술 개발 착수
(응용기술) 신종 금융사기 대응기술, 자율주행차·IoT·CCTV 보안기술 집중 투자
(추진체계) 국가 사이버보안 R&D 조정협의회 역할 강화 및 국제공동연구 확대

정보통신 인프라가 확산되고, 융합이 가속화됨에 따라 사이버 공격도 진화하고 피해 시 막대한 경제·사회적 혼란이 예상되고 있다.

정부는 최근 4년간 사이버 보안 연구개발 예산을 연평균 20%씩 증액해 왔으나, 선진국 대비 기술격차(약 2년)은 여전하고, 다양한 분야에서의 보안 요구가 증가하여 개별 부처 차원의 대응으로는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이에 각 분야별 보안요구에 부응하고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이번에 관련 기관 협력을 통한 ‘국가 사이버보안 R&D 추진계획’을 마련했으며, 그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 보안 분야에도 지능정보기술 기반의 차세대 핵심 원천기술을 개발한다.

최근의 사이버 공격은 장기간 은밀히 정보를 탈취하는 수법으로 고도화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영역에 걸쳐 발생하는 위협 정보를 면밀히 학습하여 위험을 사전에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자동화된 로봇에 의한 공격도 가능해짐에 따라 방어 시스템이 스스로 학습하여 면역체계를 강화시키는 기술과 정보유출 가능성을 원천 봉쇄하는 차세대 암호기술 개발도 추진할 계획이다.

둘째, 국민 일상 속에 융합 서비스가 확산됨에 따라 사회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블록체인‧바이오인증 기술, 사물인터넷(IoT)·자율주행차·CCTV 보안 기술 분야에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가 이루어질 전망이다.

셋째, 국가차원의 사이버 보안 기술역량을 결집하기 위해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국가 사이버 보안 R&D 조정협의회’와 민관협력 ‘정보보호 R&D 기술공유협의체’의 역할을 강화하고, 선진국과의 국제공동연구를 확대할 계획이다.

지능정보사회에 대비한 차세대 핵심 원천 기술 개발(범부처 협업)

(지능형 탐지·예측 기술 개발) 머신러닝 기반 공격자 정보 및 공격 자원 수집·연관관계 분석을 통한 위험 예측 기술 개발(‘17년 28억원)

※ 딥웹 스캐닝 기술, 공격정보수집 및 예측기술, 공유정보 분석 고도화 기술 등

(자가방어 기술 개발) 공격자의 목표물에 대한 접근을 어렵게 하는 시스템 은폐·난독화 기술 및 자기학습형 면역 시스템 개발(‘17년 38억원)

※ 국방부 제안사항을 민간수요까지 확대 고려하여 기술개발사항 발굴

※ 머신기반 사이버공격, 대응 플랫폼 개발(인공지능 해킹대회 활용)

(차세대 암호기술 개발) 정보 유출 가능성을 원천 봉쇄할 수 있도록 양자암호 및 차세대 암호기술과 암호 적용 시스템의 안전성 분석 기술 개발(‘17년 65.5억원)

사회 현안 해결을 위한 응용 기술개발(대학·기업 중심, 민간 연계)

(현안기술) 최근 대두되고 있는 랜섬웨어 대응 기술과 블록체인 활용 인증 기술 및 사용자 친화형 무자각·무인지 보안기술 개발(‘17년 80.5억원)

(융합·물리보안) 데이터 비식별화, IoT·자율주행차 보안 기술 및 차세대 인증기술, 클라우드 기반 지능형 영상보안(차세대 CCTV) 기술 개발(‘17년 43억원)

Open Innovation 중심으로 추진체계 정비

(범부처·민간 협력) ‘국가 사이버보안 R&D 조정협의회’(’15.12월) 및 ‘사이버보안 민관협의체’(’16.8월, 기술이전) 운영을 통한 공공·민간 참여를 활성화해 왔으며, 이를 지속 확대

(국제공동연구 확대) 미국 등 보안 선진국과 공동연구개발 확대(’16년 20억)를 통한 선진 기술 확보, 글로벌 기술격차 해소

※ 美 국토안보부, 공군 등과 공동연구개발 협약을 체결(‘16.10월)

(연구기관 역할 재정립) ETRI(원천기술), KISA(사이버사고 대응), 국보연(공공, 암호 등) 기관 본연의 특성에 부합된 연구에 주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